문제
오늘은 혜아의 면접 날이다. 면접 준비를 열심히 해서 앞선 질문들을 잘 대답한 혜아는 이제 마지막으로 칠판에 직접 코딩하는 문제를 받았다. 혜아가 받은 문제는 두 수를 더하는 문제였다. C++ 책을 열심히 읽었던 혜아는 간단히 두 수를 더하는 코드를 칠판에 적었다. 코드를 본 면접관은 다음 질문을 했다. “만약, 입출력이 N바이트 크기의 정수라면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현해야 할까요?”
혜아는 책에 있는 정수 자료형과 관련된 내용을 기억해 냈다. 책에는 long int는 4바이트 정수까지 저장할 수 있는 정수 자료형이고 long long int는 8바이트 정수까지 저장할 수 있는 정수 자료형이라고 적혀 있었다. 혜아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. “int 앞에 long을 하나씩 더 붙일 때마다 4바이트씩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나는 걸까? 분명 long long long int는 12바이트, long long long long int는 16바이트까지 저장할 수 있는 정수 자료형일 거야!” 그렇게 혜아는 당황하는 면접관의 얼굴을 뒤로한 채 칠판에 정수 자료형을 써 내려가기 시작했다.
혜아가 N바이트 정수까지 저장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칠판에 쓴 정수 자료형의 이름은 무엇일까?
입력
첫 번째 줄에는 문제의 정수 N이 주어진다.
ex)
4
20
출력
혜아가 N바이트 정수까지 저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정수 자료형의 이름을 출력하여라.
ex)
long int
long long long long long int
코드
import sys
n=int(sys.stdin.readline())
for _ in range(n//4):
print("long",end=" ")
print("int")
'Python > 백준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/python] 백준 6359번 만취한 상범 (0) | 2023.01.10 |
---|---|
[파이썬/python] 백준 1568번 새 (0) | 2023.01.08 |
[파이썬/python] 백준 5656번 비교 연산자 (0) | 2023.01.04 |
[파이썬/python] 백준 16204번 카드 뽑기 (0) | 2023.01.02 |
[파이썬/python] 백준 25640번 MBTI (0) | 2022.12.31 |